메뉴

창원 중소제조업체 “기술기능직·단순생산직 인력난 심각”

창원상의, 인력수요조사 발표

기사입력 : 2024-05-21 20:41:58

부족 응답 각각 49.8%·38.4% 차지
인력풀 적어 매출 낮은 기업 더 심해
구인·구직 정보 공유 채널 구축
외국인 유학생 고용특례 등 필요


창원 지역 기업은 기술기능직과 단순생산직의 인력난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창원상공회의소(회장 최재호)는 프레스룸에서 5월 정례브리핑을 열어 ‘창원지역 기업 인력수요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지난 4월 22일부터 5월 17일까지 창원 소재 중소 제조업체 245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창원 중소 제조업체 절반에 가까운 49.8%는 기술기능직 부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생산직이 부족하다는 응답은 38.4%로 두 번째로 높았다. 이어 사무관리직(29.0%), 영업직(23.3%), 교육안전직(18.8%)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매출 규모가 적은 기업의 인력난이 더 컸다. 연 매출 200억원 미만 기업의 인력난 관련 응답은 기술기능직 부족 53.8%, 단순생산직 부족 40.0%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 매출 200억원 이상 기업은 각각 수치가 44.0%, 36.0%로 조사돼 상대적으로 낮았다.

기업 인력 부족 요인은 ‘직무 능력자·전공자·경력직을 구할 수 없다’는 응답이 50.3%로 가장 높았다.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80%(196곳)로 나타났다. 채용이 어려운 이유로는 지원자 부족이 29.9%로 가장 높았고 낮은 급여·복지가 28.3%로 뒤를 이었다.

창원 중소 제조업체는 경력 보유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채용 시 고려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경력·경험·보유기술을 본다는 응답이 66.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성격이 23.4%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를 통해 기업은 실무능력을 갖춘 구직자를 구하기 어렵고, 구직자는 보상체계와 복지 수준을 확인할 수 없어 믿음이 가지 않는다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창원상의는 분석했다. 또 채용 시 고려사항과 관련해서는 과거 학력 중심 채용 후 육성하는 방식에서 현재는 단기에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경력자나 경험자를 우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봤다.

창원상의 관계자는 “기술·기능직의 경우 인재풀 자체가 적고 추가 공급도 부족하다. 또 잦은 이직, 급변하는 경영환경 탓에 중소기업들이 인재를 자체 육성할 유인이 낮아졌다”며 “중소기업이 아닌 고등교육기관의 교육을 통해 인재가 육성돼야 한다”고 밝혔다.

직종별 평균 급여 관련 조사 결과도 나왔다. 단순노무 부문의 조립·연삭·지게차·기계장비 수리업은 평균 연봉 3876만원(외국인 3300만원), 숙련·전문 부문의 CAD·PLC·CNC 등의 업종은 4081만원, 연구개발에 해당하는 CAD·CATIA·CAM 등의 업종은 4465만원, IFRS·전산회계·원가관리 등의 업종은 3705만원, 마케팅 부문 업종은 3811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다만 평균 연봉이 가장 높게 조사된 연구개발 분야 업종은 표준편차가 1023만원으로 나타나 업종 내 급여 차이도 가장 컸다.

이번 결과를 통해 창원상의는 기업, 구직자의 일자리 불균형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정보공유 채널 구축을 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 채널은 기업과 대학이 참여해 기업이 원하는 직무·자격과 보상 체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일종의 정보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인력난 해소 방안 제언도 나왔다. 외국인 유학생의 고용특례제도, 특정활동비자(E-7)의 제조업 생산직 허용 등이다.

창원상의 관계자는 “현재 외국인 유학생은 자신의 전공 분야에만 취업이 가능한 제약이 있다”며 “이를 완화해 다양한 분야에 취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고용특례제도라고 할 수 있다. 제도 신설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 앞서 창원상의는 창원산업진흥원과 업무협약을 맺었다. 양 기관은 이날 협약을 통해 △수출기업화 지원, 수출상담 등 기관별 수출지원 협업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상호 정보 교류 △기업 수출현장 애로 지원 등 수출활성화를 위해 상호 협력키로 했다.

조규홍 기자 hong@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조규홍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