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인 교통사고 잦은 도내 3곳 시설 개선한다

통영 항남동 최진화비뇨기과 부근, 통영 북신동 무전사거리 부근, 진주 장대동 중앙광장사거리 부근

행안부, 경찰청 등과 합동 점검

기사입력 : 2018-01-11 22:00:00

통영시 항남동 최진화비뇨기과 부근, 통영시 북신동 무전사거리 부근, 진주시 장대동 중앙광장사거리 부근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도내 교통사고 발생지역 중 지난 2016년 노인(65세 이상) 보행자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난 3곳이다. 특히 경남지역 11개 지자체가 ‘초고령사회(65세 인구가 전체 20% 이상)’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노령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가운데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대해서는 각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메인이미지

자료사진./경남신문 DB/



◆도내 노인 교통사고 다발지역·대책= 행정안전부는 지방자치단체와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등과 함께 2016년 전국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38곳을 대상으로 합동 점검한 결과를 공개하고 이들 지역에 대한 전면적인 시설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집중 점검은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586곳 가운데 개선이 시급한 전통시장 주변 17곳을 포함한 사고 위험지역 38곳(사고발생 7건 이상 또는 사망자 2명 이상 발생지역)을 선정, 실시했다.

경남에서는 통영시 항남동 최진화비뇨기과 부근에서 8건이 발생해 가장 많다. 2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했다. 이어 통영시 북신동 무전사거리 부근과 진주시 장대동 중앙광장사거리 부근에서 각각 7건의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가 일어났다. 행안부는 이들 지역 사고 위험요인으로 무단횡단, 차량과 보행자 간 충돌 우려를 공통적으로 꼽았다.

정부는 통영 항남동 최진화비뇨기과 부근의 경우 횡단보도와 무단횡단 금지 시설을, 북신동 무전사거리 부근은 도막형 포장과 무단횡단 금지 시설을 각각 설치하는 방안을 개선안으로 냈다. 진주 장대동 중앙광장사거리 부근의 경우 안전지대 및 시선유도봉 설치, 횡단보도 신호 운영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메인이미지

◆전국 실태= 전국 사고 다발지역 38곳에서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247건이 발생해 46명이 숨지고 227명이 부상했다. 사고 247건을 분석하면 도로 횡단 186건(75.3%), 보행 통행 12건, 차도 통행 7건 순이다.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10건 가운데 7건 이상이 도로를 건너다가 발생했다. 가해 운전자의 경우 주행 중 휴대전화·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을 사용하거나 졸음운전을 하는 등 안전운전 불이행이 169건(68.4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2016년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는 4292명이다. 이 가운데 보행 사망자는 1714명(39.9%)이며, 노인 사망자는 절반이 넘는 866명(50.5%)이다.

아울러 1년 중 교통사고 빈도가 가장 높았던 달은 12월로 집계됐다. 이어 1월, 2월 순으로 나타나 겨울철 사고가 가장 많다. 시간대별로는 낮 12시∼오후 2시 사이 발생한 사고가 가장 많다. 전국 38곳의 교통사고 다발지역에서는 무단횡단 방지시설 및 횡단보도 설치, 신호시간 조정 등 313건의 시설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행안부는 이에 무단횡단 방지시설과 횡단보도 설치, 신호시간 조정 등 단기간에 개선이 가능한 195건(62%)은 올해 상반기까지 보완조치를 끝내기로 했다. 차로 폭을 줄여 차선을 늘리거나 버스정류장을 옮기는 등 많은 예산이 필요하거나 정비 기간이 오래 걸리는 118건(38%)은 연말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고령화 실태=정부가 지난해 12월말을 기준으로 집계한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도내 10개 군지역 전체가 초고령사회로 분류됐다. 8개 시지역 가운데선 밀양시도 초고령사회에 포함됐다. 이같이 11개 시·군이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서부경남의 산청, 하동, 남해, 함양, 합천 등은 30%가 넘는 초고령화로 진행이 이미 깊어져 심각한 상황이고 진주, 사천시도 14%를 넘어서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권 기자 sky@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상권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