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상을 보며] ‘진해해전’, 준비 안하면 또 당한다- 김진호(정치부·서울취재본부 부장)

기사입력 : 2018-11-15 07:00:00
메인이미지


2018년이 저물어가고 있는 이때, 진해 앞바다에는 대형 국책사업을 놓고 경남도와 부산시가 한창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제2신항과 신항 해양문화공간, LNG(액화천연가스) 벙커링 터미널 입지 선정이 그것이다. 제2신항은 해양수산부가 신항의 물동량 증가 추세를 감안해 현재 21선석 규모인 신항 컨테이너 부두를 단계별로 확충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부산시는 부산항을 물류혁신의 중심신항을 만들기 위해, 경남도는 동북아 물류 플랫폼 구축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유치에 나섰다.

해수부와 BPA(부산항만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신항 해양문화공간은 신항을 홍보하고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총 492억원을 들여 전망타워와 야외조각공원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미 진해 연도를 대상으로 연구용역을 수차례 실시했고, BPA 전 사장과 현 사장이 국정감사에서 연도에 짓겠다는 답변을 한 상태다.

해수부가 추진하고 있는 LNG 벙커링 터미널은 LNG연료를 선박원료로 공급하는 시설이다. 이들 3개 대형 국책사업은 경남도와 부산시가 신산업 육성과 신항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차원에서 적극 유치전에 뛰어들고 있다.

지자체의 미래 먹거리 사업이자 일자리가 창출되는 만큼 유치 열기가 뜨거워 ‘진해해전’이라고 불릴 만하다.

이 중 신항의 랜드마크 격인 해양문화공간은 입지가 연도로 굳혀져 있는 상황이다. 제2신항과 LNG벙커링 터미널은 연구용역 결과와 양 시·도의 협의 결과를 거쳐 해수부가 연내에 입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관건은 경남도가 이들 사업을 유치해서 경남의 이익과 발전으로 연계시킬 수 있느냐이다. 입지만 경남에 위치하고 제2신항 등에서 발생하는 재화는 부산이 가져갈 수 있는 우려 때문이다.

2006년에 개장한 (부산항) 신항은 약 70%가 진해에 위치하고 있다. 진해지역 주민들은 땅과 바다를 내줬지만 돌아온 것은 홀대와 배후부지 불균형 개발이었다. 신항의 노무인력과 급유를 비롯한 공급은 사실상 부산이 전담하고 있다. 신항의 운영을 맡고 있는 BPA는 철저하게 부산 위주의 정책을 펴고 있다. 도움이 되는 것은 부산에, 조금이라도 혐오시설이면 경남에 떠넘기려는 부산의 계략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신항 명칭 문제가 불거진 2005년부터 경남은 항만·물류와 관련한 부산과의 경쟁에서 ‘인부족’, ‘세부족’이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해왔다.

십수 년 전에 가진 박탈감은 지금도 여전하다. 항만물류 운영 노하우와 항만물류 인력 양성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경남이 ‘해양수도’ 부산과 경쟁하려면 해양항만 분야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지자체가 전담 조직과 싱크탱크를 만들어야 한다. 항만발전 관련 협의회나 시민단체도 결성돼야 하고, 민간 차원의 연구기관도 설립돼야 한다.

내일 창립 예정인 ‘경남신항발전협의회’가 이를 앞당기는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 국책사업 유치도 중요하지만 철저한 준비가 없으면 또 당할 수밖에 없다. ‘창원(진해)은 부산의 식민지’라는 자조 섞인 말을 언제까지 들어야 하나?

김진호 (정치부·서울취재본부 부장)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