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설] 경남 떠나는 청년 잡을 대책은 있나

기사입력 : 2019-03-22 07:00:00


충격적이다. 지난 3년간 경남을 떠난 청년이 5만명이라고 한다. 그나마 경남에서 일자리가 많고 젊은 도시로 꼽히는 창원에서도 전입보다 전출한 청년이 1만5000명이나 많다고 하니 말이다. 더 놀라운 것은 지난 2017년 경남발전연구원이 실시한 경남도 청년 실태조사에서 5년 이내 경남을 떠나겠다고 응답한 청년이 33.4%에 달했다는 것이다. 청년의 역외유출은 저출산·고령화로 이어져 경남이 인구소멸 위기를 맞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창원의 청년 탈출현상은 지방 소멸의 바람이 농어촌지역을 넘어 도시까지 확산될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경남의 청년이 수도권 등으로 떠날 수밖에 없는 이유는 통계에서 드러난다. 지난해 4분기 경남의 청년고용률은 56.2%로 전국 평균보다 1.7%p 낮고 청년실업률은 0.6%p나 높다. 조선과 기계 등 주력 제조업의 침체로 기존 일자리마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다 일자리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는 것이 문제다. 2015년 기준 전국 사업체 수 387만4000개 중 경기가 82만8000개, 서울이 82만1000개로 두 지역에 42.6%나 몰려있다. 경남뿐만 아니라 타 시도 청년들도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갈 수밖에 없는 구조다. 경남발전연구원 조사에서 도내 청년이 경남을 떠나는 이유로 43.5%가 일자리를 찾기 위해서라고 답한 것과 맥을 같이한다.

최근 국회미래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도내서는 11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이다. 청년층의 역외 순유출이 증가하면 할수록 소멸위험지역은 늘어나고 소멸 시기도 빨라질 수밖에 없다. 떠나는 청년을 잡는 것이 경남을 살리는 길이다. 해법은 기업을 유치해 일자리를 만들고 정주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다. 경남도가 이 같은 위기의식을 반영해 지난 15일 청년정책 5개년 종합계획을 확정했다고 하나 그 실효성은 의문이다. 수도권 집중현상을 자치단체에서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에 집중된 기업이 지방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야 한다.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