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남 청년 유출 65%가 수도권·부산으로

경남발전연구원 자료 분석 발표

세대주 기준 ‘직업’ 사유 63.9%

기사입력 : 2019-05-01 22:00:00


경남지역 2030세대(청년층)의 인구이동 통계를 살펴본 결과 65%가 수도권과 부산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발전연구원 심인선 선임연구위원은 브리프 35호 ‘경남청년 2030 왜, 어디로 유출되나’를 통해 도내 청년들의 이동사유와 유출지역 등을 분석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메인이미지자료사진./경남신문DB/

광역지자체별 이동을 살펴보면, 경남지역 이외 타 지역으로 유출되는 수가 2018년 6만7807명이었으며 이중 부산이 2만847명(30.7%)으로 단일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서울 1만2083명(17.8%), 경기 9376명(13.8%), 인천 1836명(2.7%)으로 2만3295명(34.4%)이었다. 또 대구 4433명(6.5%), 경북 4363명(6.4%), 울산 3299명(4.9%)으로 나타났다. 경남의 청년은 대체로 수도권과 영남권 지역으로 이동하고, 영남권과 수도권을 제외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비중은 17.1% 정도였다.

메인이미지

세대주를 기준으로 작성된 이동 사유를 보면 2018년 전출한 경남 2030세대의 세대주는 4만1545명이었다. 이중 직업으로 인해 이동하는 경우가 63.9%였고, 주택 13.1%, 교육 12.2% 순이었다. 가족이나 건강 등의 사유는 미미했다.

직업으로 이동한 지역은 수도권이 40.0%에 이르렀고, 부산 25.3%, 경북 6.3%, 대구 5.6%, 울산 4.6% 순이었다.

일반적으로 경남청년의 부산 이동이 많지만, 직업을 이유로 한 2030대 세대주의 이동은 수도권으로 이동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5년간(2014~2018년) 경남도내 다른 기초지자체로 움직인 2030세대는 1만4818명이었다. 창원시로 움직인 비중이 26.4%로, 4명중 1명으로 나타났다. 김해시 17.1%, 진주시 15.4% 거제시 7.3%, 양산시 6.9% 순이었다. 타 지자체로의 이동과는 별도로, 도내에서도 도시의 중핵지역이라 할 수 있는 창원시와 진주시, 김해시 등으로 인구가 집중되고 군지역으로의 이동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군지역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남의 인구규모를 베이비붐 시대(1955~1963년생) 중 퇴직 전에 있는 55~59세를 100으로 두고 다른 연령대의 비중을 살펴본 결과, 30~34세의 비중이 여성 60%, 남성 64%로 가장 적은 비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방 전후 혼란기에 따른 50대 초반의 영향이, 한 세대 이후인 30대 초반에 영향을 미치고 또 강력한 산하제한 가족계획 사업의 영향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시군별로 볼 때, 군지역의 인구구조는 시에 비해 30대 초반의 비중이 베이비 부머에 비해 현저히 낮아 36%에 불과하다. 군지역의 경우, 80세 이상의 인구수가 베이비부머에 육박하는 91%로 노인수가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9세의 인구 비중도 33%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인선 연구위원은 “거주인구를 늘리기보다 청년이 지역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일에 종사할 수 있는 사회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청년이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청년이 돌아오는 지역은 또는 청년이 떠나지 않는 지역은 지역의 일자리와 밀접하다”며 “청년정책은 보조금 지원 등 단기적이고 일시적인 처방이 돼서는 안되고 지속가능성이 담보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종훈 기자 leejh@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종훈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