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설] 한국GM, 르노삼성 파업 교훈 되새겨야

기사입력 : 2019-06-20 20:30:38

한국GM이 파업 위기에 휩싸였다. 노조는 19, 20일 이틀간 진행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74.9%의 찬성률을 보였다고 밝혔다. 창원공장의 찬성률은 76.5%다. 노조가 앞서 지난 13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신청을 내 파업을 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한 것이다. 노조는 올해 임단협을 시작도 못한 채 교섭 장소 문제로 사측이 불참해 임단협이 무산됐다는 입장이다. 오는 24일께 중노위의 결정에 따라 투쟁방식 등 수위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르노삼성자동차 사태가 일단락되자마자 파업 바통을 이어가지 않을까 우려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한국GM의 상황은 노조가 파업 운운할 정도로 호락호락하지 않다. 미국 본사와 산업은행이 약 8조원을 투입해 경영정상화를 꾀했지만 지난해 6148억원의 영업 손실을 내는 등 5년 연속 적자 행진 중이다. 이달 들어선 한국 본사 사무조직인 영업·마케팅·서비스 부문에 대해 희망퇴직을 받고 있다. 더 심각한 것은 칼자루를 쥔 글로벌 GM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지난해 메리 배라 회장은 전 세계 7개 공장을 폐쇄하는 구조조정안을 발표하면서 올해 말 수익이 나지 않는 해외공장 두 곳의 문을 더 닫겠다고 밝혀 한국이 과녁권 내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산업연구원의 한 연구위원은 “창원공장이 최근 생산 대수를 줄이고 있는 점이 심상치 않다”고 했다.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안갯속에 있는 꼴이다. 그런데도 노조는 경영정상화 때 양보한 복지혜택 원상복구와 약 12만원의 기본급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GM이 파업으로 가선 안 된다. 지난 1년여간 직장폐쇄 등 극한으로 치닫던 르노삼성자동차가 최근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타결했다. 노조 집행부가 파업을 결정했으나 노조원들이 반기를 든 결과다. 노조는 사측이 밀면 밀린다는 전략을 세웠겠지만 되레 많은 노조원들이 생산현장을 찾은 것이다. 물론 무노동 무임금의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등 노조의 요구가 일부 수용되긴 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회사 없는 노조는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