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설] 경남 수도관 노후 … ‘붉은 수돗물’ 우려된다

기사입력 : 2019-06-23 20:39:07

인천과 서울 문래동과 같은 ‘붉은 수돗물’ 사태는 남의 일이 아니다. 경남의 상수관 노후도가 이들 지역보다 더 심각하기 때문이다. 2017년 기준으로 도내 상수도관 중 30년 이상 된 노후관 비율이 22.1%로 강원도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시군별로는 진주시가 46.2%로 가장 높고 창원시도 27.1%에 달한다고 한다. 노후관 총연장이 3930㎞에 달하는 것을 감안하면 ‘붉은 수돗물’ 사태가 언제, 어느 곳에서 발생할지 알 수 없다. 도민들이 수돗물을 불신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런데도 노후 수도관 교체나 개량사업의 속도는 소걸음이다. 노후관 교체율은 0.9%, 수도관 내부 녹을 제거하고 내구성이 강한 도료를 칠해 다시 사용하는 수도관 개량률은 0.3%에 불과하다.

노후 수도관은 크게 두 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첫째는 이번 붉은 수돗물 사태와 같은 수돗물 오염이다. 둘째는 수도관 파손으로 인한 ‘물폭탄’과 누수다. 상수도관이 터져 수돗물 공급이 끊기면 주민이 큰 불편을 겪게 되고, 눈에 보이지 않는 누수로 수백억원어치의 수돗물이 땅속으로 사라져 예산을 낭비하게 된다. 경남의 누수율은 19%다. 지자체에서는 상수도관 교체가 시급하지만 원가에 못 미치는 수도요금으로 수도관 교체에 집중 투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주민의 건강, 안전과 직결된 노후 수도관을 방치하면 재난으로 이어지고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유발한다는 것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이번 인천 수돗물 사태를 계기로 내년부터 4년간 수도관 교체 등 노후 인프라 개선사업에 32조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늦었지만 경남도 이 방침에 따라 오는 2028년에 끝낼 계획이었던 노후관 정비사업을 앞당길 것을 당부한다. 그동안 자치단체장은 표를 의식하여 선심성 복지예산과 신규사업 예산을 늘리면서도 눈에 보이지 않는 땅속 상수도관 교체와 관리에는 소홀했다. 노후 인프라 개선사업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뉴딜정책으로 노후 인프라 개선사업에 집중 투자하면 일자리와 안전관리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