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동 우복리서 고려∼조선초기 석실묘 발굴

하동군, 양보면 우복리 고래장골 고분 긴급 발굴조사

기사입력 : 2019-08-19 09:25:24
고려~조선 초기 시대로 추정되는 하동군 양보면 우복리 고분의 석실 내부 모습./하동군/
고려~조선 초기 시대로 추정되는 하동군 양보면 우복리 고분의 석실 내부 모습./하동군/

하동군 양보면 우복리 고래장골에서 고려∼조선초기로 추정되는 석실묘가 발굴됐다.

하동군은 우복리 고래장골 일원에 도굴·훼손된 석실묘의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복원을 통한 역사문화 자원 활용을 위해 (재)경남문화재연구원(원장 박동백)에 의뢰해 긴급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지난 16일 현장에서 학술자문회의를 가졌다고 19일 밝혔다.

지난달 29일부터 실시한 발굴조사 결과 우복리 고분은 해발 572m의 이명산 계봉 북서쪽 능선에서 서쪽으로 갈라져 나온 가지능선의 돌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근 서쪽 능선에 고분 1기가 더 확인됐다.

고분 입지가 산 중턱에 단독 묘역을 마련하고 풍수지리사상에 입각한 지세를 이용한 점과 평편한 천장에 장대석으로 세로로 평평하게 쌓은 점, 수습된 유물(도기편·기와편·청자편·백자편) 등을 고려할 때 고려∼조선 초기 석실묘로 추정됐다.

이 고분은 앞서 1988년 부산대학교에서 가야문화권 유적 정밀조사를 통해 처음 학계에 알려졌으며, 고분의 구조가 적석식 장방형 횡구식석실분(앞트기식 돌방무덤)으로 조사돼 가야지역과 그 궤를 달리하는 백제지역의 고분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이어 지난 6월 (재)경상문화재연구원(원장 노태섭)이 우복리 고분에 대한 정밀지표조사 결과 전체적인 잔존상태와 구조는 앞선 가야문화권 유적정밀조사 시의 양상과 비슷한 것으로 보고됐다.

그러면서도 벽화 존재 가능성과 매장주체부 위치가 지하인 점, 편천장에 장대석을 종평적한 점, 고분 입지가 단독분으로 산 중턱에 묘역을 마련하고 풍수지리사상에 입각한 지세를 이용한 점 등으로 미뤄 고려~조선초기의 석실묘일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재)경남문화재연구원은 석실을 중심으로 폭 40㎝ 정도의 십자 둑을 설치하고 봉분을 4분면으로 나눠 둑을 남기고 1차 노출 및 표토제거 작업을 실시했다. 트렌치는 폭 50㎝ 정도로 설정하고 둑에 밀착시켜 나란히 굴착해 토층조사를 실시했다.

봉분은 도굴로 훼손돼 대부분 유실된 것으로 확인됐다. 석실 외곽에 타원형으로 둘러진 돌을 통해 볼 때 평면형태는 타원형이며 규모는 길이 6.3m 너비 4.8m이다.

하동군은 우복리 고분에 대한 지금까지의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난 16일 현장에서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했다./하동군/
하동군은 우복리 고분에 대한 지금까지의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난 16일 현장에서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했다./하동군/

묘역시설은 2개소가 확인되는데 석실 외곽의 1차 묘역은 석실의 앞쪽 일부에 ‘ㄷ’자형으로 설치됐으며, 2차 묘역은 무너져 내린 석재들 사이에서 원위치일 것으로 판단되는 석축의 흔적으로 보아 방형의 묘역으로 추정된다.

석실은 주축 북동-남서향으로 평면형태가 장방형의 횡구식석실묘이다. 묘도의 굴광은 확인되지 않지만 폐쇄석으로 판단되는 대형할석을 통해 그 흔적을 짐작할 수 있다.

입구는 판상할석 2매로 문비석을 만들었던 것으로 보이며, 도굴 시 원위치에서 이탈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실의 규모는 길이 3.6m 너비 1.4m 높이 1.5m 정도이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종합해볼 때 우복리 고분은 석실은 백제 사비기(538~660) 이후 만들어진 횡구식석실묘와 석실 구조가 매우 유사한 형태이나 고려∼조선초기의 무덤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발굴단은 고려~조선초 하동지역의 고분문화와 지역사를 이해하는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하동군은 우복리 고분에 대한 지금까지의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난 16일 현장에서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범홍 경남도문화재위원과 박광춘 동아대 교수, 최춘환 군청 문화체육과장, 박주원 우복리 동촌마을 이장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남문화재연구원이 발굴조사 진행방법과 조사과정, 유적조사 결과 분석된 내용, 수습유물에 대해 설명했다.

김재익 기자 jikim@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재익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