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고] 가짜 뉴스- 이근원(경남도 선관위 홍보과 주무관)

기사입력 : 2019-08-20 20:26:38

뉴스 과잉 시대, 인터넷 세상에는 지금도 수많은 새로운 정보가 넘쳐난다. 쉴 새 없이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 뉴스 이용자들은 ‘정확한 정보’보다 ‘눈길을 끌 만한 흥미로운 정보’에 먼저 관심을 둔다. 소위 이야깃거리가 되는 ‘더 자극적인 음모론’, 정치적으로는 ‘듣고 싶은 이야기를 통해 동질감을 느끼게 해 주는 뉴스’에 먼저 눈길이 간다. 사실의 진위 여부 확인은 그다음이다. 이런 토양 위에 가짜뉴스가 자란다.

가짜뉴스란 ‘정치적·경제적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언론보도의 형식을 하고 유포되는 거짓 정보’를 말한다. 가짜뉴스는 특히 정치적인 목적으로 생산되어 선거를 앞두고 기승을 부린다. 가짜뉴스의 영향으로 선거 판도가 흔들릴 정도라는 미국의 경우 2017년 실시되었던 대선 3개월의 기간 동안 페이스북에 유통된 공유·댓글·반응 건수를 보면 주요 언론사의 뉴스가 736만 건이고 가짜 뉴스가 871만 건이었다고 한다. 선거철 주류언론의 뉴스보다 가짜뉴스가 더 많이 생산·유포된 것이다.

우리나라도 크게 다르지 않아 중앙선관위의 ‘6·13 지방선거 가짜뉴스 적발 현황’에 따르면 지난 6·13 지방선거에서 허위 사실, 인신공격형 정보 등 부적절한 온라인 콘텐츠는 총 2만5861건이 유포됐다. 이 중 특정 후보자의 낙선을 목적으로 허위, 비방을 담은 ‘가짜뉴스’는 4555건에 달했다.

가짜뉴스에 대응하기 위해 선거관리위원회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치러지는 선거의 특성상 선관위의 노력에는 한계가 있다. 가짜뉴스를 적발하여 조치한다 해도 피해회복이 쉽지 않고, 추후 사실관계가 확인되더라도 확정된 결과를 돌이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짜뉴스 근절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뉴스를 소비하는 유권자들의 안목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가짜뉴스를 가려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온라인에서 뉴스를 접했을 때는 먼저 정보원과 저자를 확인해야한다. 정보원이 공인된 언론사인지, 뉴스 하단에 기자의 이름과 이메일 주소는 정확하게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둘째, 뉴스의 날짜를 확인해야 한다. 오래된 소식이 최신 뉴스인 듯 게재되어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셋째, 본문을 잘 읽어야 한다. 가짜뉴스는 이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과장된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뉴스 제목이 자극적이진 않은지, 회피성 언어를 사용하지는 않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넷째, 주장의 근거를 확인해야 한다. 인용된 전문가의 이름 등 관련 정보가 확실한지, 출처 없는 통계가 인용되고 있지는 않은지 따져보아야 한다.

요즘 신문에 ‘총선’이란 단어가 심심찮게 등장한다.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는 12월은 아직 네 달여 남았지만 언론은 이미 국회의원선거를 주요 뉴스거리로 다루고 있다. 거짓정보에 휘둘리지 않는 깨끗한 선거를 위해 유권자의 안목이 절실해지는 요즘이다.

이근원(경남도 선관위 홍보과 주무관)

※소통마당에 실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