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남 중소형조선 살리려면 경남도 연구개발 동참해야”

정미경 교수 ‘조선업 위기 대응’ 발제

“전문가위 구성·선종개발 제고” 강조

기사입력 : 2019-08-26 08:07:20

경남지역 중소조선을 살리기 위해서는 경남도를 비롯한 지자체가 연구개발 등에 함께 나서야 한다는 전문가의 제안이 나왔다.

정미경(독일정치경제연구소장) 단국대 초빙교수는 한국사회경제학회(회장 정성기 경남대 경제금융학과 교수)와 산업연구원(원장 장지상) 주최로 오는 27일 경남대 창조관에서 열리는 학술발표대회에 앞서 25일 공개한 ‘부산·울산·경남지역 조선업의 위기와 대응 방안’이라는 발제를 통해 경남지역의 중소형조선은 괴사상태라며 이 같이 밝혔다.

정 교수는 “중소형조선의 활성화에 가장 큰 걸림돌은 여전히 선수금환금보증(RG)이다. 은행이 선수금환급보증을 해주는 경우는 튼튼한 담보물을 제시하거나, 성공을 확신할 수 있는 선박건조계획을 제시할 때”라며 “후자의 조건을 충족하기위해서는 세계 및 국내시장에 대한 선박수요조사, 자사에 적합한 선종의 개발, 시리즈 선박건조를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이에 “중소조선소가 경영능력을 갖추기 위해 연구개발이 필요한데, 이러한 연구개발력은 중소조선 단위의 규모에서 가능하지 않다”며 “경상남도가 지자체 차원에서 전문가위원회를 구성하고 중소조선을 위한 시장조사, 선종개발 서비스를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조선의 고용유발계수는 10억원 매출당 8명에서 10명까지 달한다. 점차적으로 수주를 확대해 2009년 중소조선소 매출 총액 약 10조원의 절반수준 정도의 매출 5조원을 달성하면 약 5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며 중소조선을 위한 연구개발전문가위원회 구성에 자자체가 나서야 하는 이유를 밝혔다.

그는 아울러 경남지역 중소형 조선이 괴사상태에 빠진 현실을 소개하면서 “중형조선의 뒷받침 없이는 대형조선도 위태롭다. 기자재 산업에 활력에도 중형조선의 역할이 크다. 지난 10년 일본이 중형조선으로 조선업을 재정비할 때 우리의 중형조선은 하나 둘 문을 닫았다”고 밝혔다.

한편 27일 오후 2시30분부터 경남대 창조관에서 열리는 학술발표대회에서는 총 18개의 논문이 발표되며, ‘한국 지역현장의 제조업 위기와 대응방안’이라는 주제로 12개의 논문이 발표된다. 그 중에서 3개는 특별세션에서 ‘경남지역 중화학·방위산업의 위기와 대응방안:진보의 이론·정책적 성찰’이라는 주제로 발표된다.

김진호 기자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진호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