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일제 잔재·인권 유린 성매매 집결지 폐쇄·정비해야”

여성친화도시·도시재생 심포지엄

여성친화형 재생사업 추진 의견 모아

기사입력 : 2019-09-25 21:08:43

3·15민주운동 60주년, 부마민주항쟁 40주년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가진 창원시가 일제 잔재이자 가난과 약탈의 아픈 역사의 현장, 인권유린의 상징인 서성동 성매매집결지 폐쇄와 정비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창원시가 서성동 성매매집결지에 대한 정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5일 마산합포구청에서 열린 ‘여성친화도시와 도시재생 심포지엄’에 토론자로 참여한 김신정 경남여성인권지원센터 소장은 일제시대부터 시작돼 한국전쟁, 1960~1970년대 외화벌이 등의 수단으로 악용된 서성동 성매매집결지의 역사를 통해 집결지 폐쇄 당위성을 강조했다.

25일 창원시 마산합포구청에서 열린 성매매 집결지 여성친화도시와 도시재생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성승건 기자/
25일 창원시 마산합포구청에서 열린 성매매 집결지 여성친화도시와 도시재생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성승건 기자/

김 소장은 “힘 없고 가난했던 우리나라는 우리 딸과 누이의 몸을 볼모로 했고 서성동 성매매집결지는 아픈 역사고 인권 유린의 상징이다”면서 “서성동 집결지 폐쇄와 정비는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온 악습과 잔재를 끊는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또 “성매매 종사 여성들이 왜 성을 팔아야 하는 지를 이해하고 집결지가 기억, 치유의 공간, 여성친화적 공간이 되도록 하는 등 공동체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 참석자들은 서성동 성매매집결지를 폐쇄하고 여성친화형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해 정비하는 게 바람직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여성친화형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경찰과 행정의 강력한 법집행이 우선돼야 하며 여성인권 관점에서 성매매 피해여성들에 대한 이해와 자활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행정과 경찰, 시민단체, 지역주민이 포함된 협의체가 사업의 주체가 돼 이벤트성이 아닌 지속적 사업 추진이 필요하며 성매매가 불법이라는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와 교육도 병행돼야 한다는데 입을 모았다.

부산 완월동 성매매집결지 사례를 중심으로 주제발표한 박상필 부산연구원 연구위원은 성매매집결지와 같은 특수취약지역에 대한 도시재생이 성공하려면 성매매 종사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흡수식 정비사업과 함께 불법에 단호한 법집행을 통한 압박구조로 설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충남 아산시 사례를 소개한 윤금이 아산젠더 대표는 여성친화 도시재생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려면 도시의 기본개념부터 여성 중심이 돼야 하고, 여성이 재생사업 주체로 참여해야 한다고 했다.

윤 대표는 “여성친화도시를 만들면서 누가 가장 취약자이냐에 대한 질문을 끊임없이 던졌다”며 “여성이 주체가 돼야 여성친화형 도시재생이 가능하다”고 했다. 또한 “어떻게 탈성매매 여성을 지원할 것인지에 집중했으며 사업 진행 과정에서 끊임없이 지역민을 만나 소통했다”고 지역과의 협의를 강조했다.

토론자들 역시 이번 기회로 서성동 성매매집결지의 폐쇄와 정비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경영 경남도의원은 행정기관의 강력한 법집행을 요구하고 인권활동가에게만 맡겨왔던 성매매 집결지 문제를 활동가, 공무원, 시민이 결합해 해결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 의원은 “성매매집결지가 있다고 해서 다른 성범죄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말은 틀렸다는 것을 지난 시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면서 “행정이 해야할 일을 하지 않은 게 너무 많은데 강력하게 단속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영 연구원은 성매매 집결지의 효과적 정비를 위해서는 창원시가 큰 방향을 제시하되 단기간이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상구 주민대표는 “성매매집결지 정비 대책위를 비롯해 사업을 추진하는데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며 “창원시나 경남도가 컨트롤타워를 맡아 재생사업을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조고운 경남신문 기자는 성매매특별법 시행 후 10년간 변화하지 않은 서성동 집결지 실태를 꼬집고, 불법 성매매가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서성동 성매매집결지를 보고 자라는 아이들이 불법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타 지역의 사례를 볼 때 창원에서도 집결지 폐쇄를 위한 촉발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희진 기자 likesky7@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희진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