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촉석루] 국립대 통합, 끝내 추진하려면- 최임식(한국토지주택공사 주거복지지사장)

기사입력 : 2020-01-22 20:19:04

먼저 다음 질문에 답해야 한다. 1.통폐합이 지역에 어떤 이익이 있는가? 2.추진과정이 얼마나 민주적이었고 민주적일 것인가? 3.학령인구 감소현상에도 타 지역 국립대 통폐합 사례가 오랫동안 발견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

우문(愚問)이라 생각하면 우답(愚答)이라는 것을 제출한다. 1.그동안 아무런 이익도 제시하지 못했다. ‘로스쿨, 치과대학, 부산대와 어깨를 나란히….’ 등 미사여구는 삼척동자도 허구임을 안다. 2.추진과정의 비민주성은 대부분 공감할 것이다. 하나만 예를 들면, 총장선거도 아닌 개개인의 생존권이 달려 있는 통폐합 투표에서 표의 가치를 수십 배 차등을 둘 아무런 이유가 없다. 그것도 투표결과 판정기준도 제시하지 않고 먼저 투표를 하라고 하고. 3.부산대-부경대-한국해양대, 안동대-금오공대, 목포대-목포해양대-순천대, 충남대-공주대-한밭대, 강원대-강릉원주대, 전북대-군산대…. 경남과 유사한 전국의 많은 국립대가 먼저 나서서 통합하지 않고 있다. 교육부는 통합을 강요하지 않는다. 학령인구 감소 우려보다는 지역 황폐화에 대한 우려가 더 크기 때문이다. 서남대 폐교로 남원이 겪는 혹독한 시련이 반면교사가 되었다. 나주에 사립 종합대학이 있지만 한전은 주주배임소송의 우려를 무릅쓰고 100% 학비면제의 ‘한전공대’를 나주에 설립하려 하고 있다. 대학이 지역발전의 핵심 원동력임을 인식한 지역의 요구가 거세기 때문이다.

경상대-경남과기대 통폐합에 앞서 이런 문제들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 경남 거점 국립대라면 양산, 김해에서도 수차례 공청회를 열고 경남도와도 충분히 소통해야 한다. 경남과기대는 대한제국의 가냘픈 촛불이 꺼져가던 때에 그래도 교육만이 국권회복의 희망이라는 선조들의 ‘눈물’이 배어 있는 학교다. 경상대도 1948년 1개과(농학과)로 개교했지만 도민들이 피땀으로 일궈 낸 명문대학이다. 대학통폐합을 현재 구성원들의 투표로만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작년 12월 10일 양 대학은 통합합의서에서 ‘지역발전 선도를 위해 대학통합이 최우선 과제’라고 했다. 지성인답게 그 근거를 밝히고 진지하게, 충분하게 토론해야 한다.

최임식(한국토지주택공사 주거복지지사장)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