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설] 경남 떠나는 근로자 막을 대책 없나

기사입력 : 2020-02-12 20:34:03

조선업 회복세로 제조업 고용이 늘고 있지만 일자리 부족으로 근로자들이 경남을 계속 떠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다 50대 이상 근로자만 늘어 경남의 고용시장이 고령화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다. 경남의 고용시장이 비정상적이라는 의미다. 창원상공회의소가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를 기준으로 고용동향을 분석한 결과, 경남은 지난 2016년부터 4년 동안 근로자의 유입보다 유출이 2만4382명이나 많은 순유출 지역이다. 2019년에는 9만3068명이 유입됐으나 9만5294명이 떠나 순유출자는 2226명이나 됐다. 이에 비해 제조업 근로자는 6693명이 순유입됐다. 그나마 경남의 주력산업인 제조업이 근로자의 대량 유출을 막았다는 방증이다.

창원상공회의소가 발표한 경남고용동향을 보면, 3년 연속 감소해온 제조업 근로자 수는 증가 추세로 전환됐다. 그동안 침체됐던 조선업이 다소 회복된 결과이지만 제조업 신규 취업자 수 증가와 타 지역으로부터 근로자가 유입됐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신호로 보인다. 문제는 20~40대 근로자 숫자는 좀처럼 늘지 않는데 비해 50·60대 근로자가 대폭 증가하면서 50세 이상 근로자가 37%를 차지한다는 점이다. 50대 이상 장년층 근로자 비중이 높아지고 29세 이하 근로자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는 향후 고용시장의 고령화뿐만 아니라 출산율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두 번째 문제는 제조업 사업장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경남 전체 사업장 수는 14만5470개로 전년에 비해 1.3% 감소했다는 것이다. 전문직별 공사업과 종합건설업 등 건설관련 사업장 수가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으로 대폭 준 결과다. 경남에서 사업장 숫자가 줄어든 것은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0년 이후 처음이라고 하니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지난해 경남의 고용동향은 제조업이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을 다시 증명한 셈이다. 경남도와 시군의 일자리 정책에 변화가 필요하다 . 임시직, 노인 중심 일자리 창출보다는 경남의 주력산업인 제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청년의 신규 일자리에 집중해야 한다. 그래야 근로자 순유출을 막고 지역경제도 회복할 수 있다.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