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에너지전환시대 ‘풍력산업’ 뜬다 (하) 경남 풍력산업 전망·과제

향후 10년간 60조원 ‘해상풍력시장’에 도내 40여 기업 포진

조선·해양플랜트기업 참여로 일자리 창출·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기사입력 : 2020-09-22 21:11:28

전국 각지에서 해상을 포함한 각종 풍력단지 구축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개별기업은 추진 계획에 따라 의욕적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올 7월 현재 해상을 포함한 자치단체와 개별기업의 풍력단지 조성계획을 보면 경남 1474㎿를 비롯, 경기·인천 1060㎿, 충남930㎿, 전북 2711㎿, 전남 5031㎿, 경북 298㎿, 부산 1272㎿, 울산 1236㎿, 제주 587㎿이다. 전체 14.597GW이다.

하지만 이 같은 규모는 자치단체와 개별기업의 의욕이 과다하게 반영된 것으로, 실제 전문가들은 14.597GW의 절반인 7GW만 성공적으로 마무리해도 엄청난 성과라고 보고 있다.

◇정부 풍력산업 관련 정책= 정부의 에너지전환계획 ‘3020 이행계획’에 따라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풍력 부문에서 16.5GW 보급목표를 세웠다. 그중 해상 풍력 목표는 12GW로, 전체 풍력의 72.4%에 해당한다.

현재 전국 자자체와 개별 기업에서 추진하는 14.597GW에는 허수가 많이 포함된 만큼 정부는 실질적으로 12GW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 7월 17일 발표한 ‘해상풍력 상생방안’에 따라 오는 2030년 12GW준공을 통한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 성장, 주민과 함께하고 수산업과 공존하는 상생여건 조성을 목표로 정했다. ‘해상풍력 상생방안’의 주요내용은 정부·지자체 주도 입지 발굴 및 인허가 간소화, 지원시스템 마련을 통한 주민수용성 강화, 해상풍력과 수산업 상생모델 마련·추진, 대규모 단지와 연계한 풍력산업 생태계 육성 등이다.

재생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에 따라 풍력분야는 오는 2022년까지 핵심부품(블레이드, 발전기 등)을 국산화하고 중장기적으로 10㎿급 이상 초대형 및 부유식 터빈 등 차세대 기술 개발 정책을 세워놓고 있다.

◇도내 풍력산업 전망·과제= 국내 풍력발전 기업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풍력발전 시스템을 만드는 터빈사와 부속 부품을 만드는 부품사로 나뉜다. 도내 터빈 제작사는 두산중공업, 효성중공업, 유니슨, 한진산업이 있다.

또 핵심부품을 생산하는 삼강M&T, CS베어링, 우림기계, 삼정E&W 등 40여개 기업이 도내에 포진하고 있다. 이에 정부가 목표로 하는 12GW는 향후 10년 동안 약 60조원의 해상풍력시장을 창출해 새로운 먹거리를 만들 것으로 보인다.

풍력산업이 발달하면 도내 조선·해양플랜트기업의 참여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

삼강M&T에서 제작한 풍력 재킷./경남TP/
삼강M&T에서 제작한 풍력 재킷./경남TP/

특히 부유식 해상풍력은 ‘해양플랜트’ 사업을 하는 조선업계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기존 연안에 설치되는 해상풍력 발전기는 ‘재킷’이라고 불리는 구조물을 해안가 바닥에 박아 설치하는데 반해 깊은 바다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려면 수면에 떠 있는 구조물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심해에 풍력발전기를 띄워놓는 일은 쉽지 않아 에너지 업계에서는 이를 지탱할 구조물을 제작하는 걸 과제로 꼽는다. 도내 조선사들이 부유식 해상 발전 시장에서 주목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조선사들이 이 사업에 참여하면 한국식 부유식 해상발전이 빠르게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국내 기업의 실적(Track Record) 확보를 통해 해외시장 개척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현재 국내 풍력기술수준은 글로벌 대비 68.3%로 기술·가격 경쟁력이 유럽, 중국에 뒤져 핵심부품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및 사업화 지원이 필요하다. 타워, 블레이드 등 국산부품을 채택하지만 메인샤프트, 기어박스 등 핵심부품에 대한 국산부품 채택률은 아직 낮다. 풍력터빈사의 국산부품 채택률을 높여 도내 중소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가 필요할 것으로 지적된다.

◇경남도·창원시 행정 지원 중요= 이처럼 향후 미래먹거리 분야로 등장한 풍력산업이 경남의 주력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경남도와 창원시, 기업체·어민간 상호 소통이 이뤄질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자치단체, 주민·어민대표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해상풍력단지와 수산업간 상생협력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 펀드·채권형, 협동조합 등 주민참여형 사업 모델을 활용해 주민들의 반대의견을 해소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해상풍력단지와 연계한 해상가두리 등 지역특화 양식장 조성을 통한 단지의 활용방안을 구상해 어민들의 어업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도 적극 알려야 한다.

전용환 경남테크노파크 과학기술에너지센터장은 “앞으로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구축을 선도하는 지자체에 중앙정부의 다양한 지원정책이 집중된다. 또 관련 기업 및 인프라 이전으로 경남의 풍력산업과 유관 산업에 위기가 닥치기 전에 해상풍력단지 구축을 위한 주민, 어민 수용성 활동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면서 “해상풍력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해상풍력산업이 코로나19 극복과 에너지 전환 시대의 차세대 먹거리 산업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윤제 기자 cho@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조윤제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