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설] 숨은 독립 유공자 모두 찾아내야 진정한 광복절

기사입력 : 2022-08-11 20:36:37

오는 15일은 광복 77주년을 맞는 날이다. 77주년 광복절을 맞아 다채로운 행사들이 도내 곳곳에서 열린다. 광복의 기쁨을 함께 나누고 조국 독립을 위해 희생한 애국선열들의 정신을 기리기 위함이다. 정부가 8월 15일을 광복절로 제정해 기념하는 것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수많은 애국자들의 헌신과 숭고한 희생을 결코 잊지 말자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할 것이다. 특히 광복 이후 세대들에게 암울했던 당시의 상황을 소상하게 알려 비극의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자는 의미도 있다고 본다.

매년 광복절이면 언론을 통해 제기되는 문제가 있다. 아직도 당시의 공을 공식 인정받지 못하고 광복의 언저리에 남아있는 이들이 많다는 것이다. 본지가 보도한 오경팔씨도 그런 숨은 독립 유공자 중 한 분이리라 판단한다. 일제강점기인 1942년 7월 창원보통학교 4학년생이던 오경팔, 백정기씨 등 10명은 항일운동조직인 ‘청년독립회’를 결성하고 항일활동을 하다 체포돼 7~8개월 옥고를 치렀다. 출소 후 백정기·김명수씨는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하고 나머지 단원들도 평생 고통을 겪었다. 정부가 1995년 김광수씨 등 8명의 단원은 독립유공자로 인정해 훈장을 수여하거나 추서했지만 백정기·오경팔씨는 근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배제됐다. 일부 유공자들의 공훈록에 ‘오경팔’이라는 이름이 등장하는 데도 유공자로 인정되지 못하고 있으니 참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정부가 독립유공자로 인정하는 과정은 객관적이고 명확해야 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현재처럼 객관적인 자료를 찾는 역할을 당사자나 유족들에만 전적으로 맡기는 것도 문제가 있다. 당사자나 후손들이 독립운동에 관한 공적을 제기할 경우 당시 수형 자료들에 상대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부가 앞장서 찾아 확인할 수 있는 일이다. 조국을 되찾기 위해 한 몸을 바친 이들을 정부가 앞장서 발굴하고 보훈하지 않는다면 광복절 행사의 의미가 반감될 수 있다. 독립운동가들이 사후 보상을 바라고 자신을 희생해 독립운동을 한 것이 아니겠지만 그 공적을 묻어두는 것은 국가와 민족의 도리가 아니다.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