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3·15의거, 4월 혁명 중심축으로 정의해야”

3·15의거 진상조사 정책토론회서

발제자 정성기 경남대 교수 제언

기사입력 : 2022-12-04 20:47:08

3·15의거에 대한 진상규명이 진실화해위에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3·15의거의 역사적 재조명을 위해 4·19혁명의 도화선이 아닌 4월 혁명의 중심축으로 인정받고 다양한 민주화 활동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2일 3·15아트센터에서 열린 ‘3·15의거 진상조사의 성과 공유와 과제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토론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지난 2일 3·15아트센터에서 열린 ‘3·15의거 진상조사의 성과 공유와 과제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토론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정성기 경남대 부동산경제금융학과 교수(진실화해위 3·15의거 자문위원)는 2일 3·15아트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3·15의거 진상조사의 성과 공유와 과제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서서 이같이 제언했다.

정 교수는 “진실화해위는 이번 진상조사 과정에서 3·15 3차 의거로 불리는 ‘할아버지·할머니 시위’에 대해 직권조사 결정을 내렸다”며 “이는 3·15가 학생 중심 시위였다는 인식의 오류이자 그동안 진행됐던 3·15의거 연구의 부실이 드러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할아버지·할머니 시위는 1960년 4월 24일 마산 애국노인회 할아버지 200여명의 시위와, 25일 일어난 할머니 시위를 말한다.

그는 이어 “1960년 3월 15일 부정선거에 항거한 첫 유혈민주화운동과, 4월 11일 김주열 학생의 시신 발견으로 재발한 2차 의거, 4월 24~25일 할아버지·할머니 시위인 3차 의거까지 포함하면 3·15의거 그 자체는 4·19혁명의 도화선이 아니라 4월 혁명, 60년 민주혁명의 중심축으로 새로 정의 내려야 한다”며 “이를 근거로 서울 중심의 4·19혁명 프레임에서 벗어나 사회역사적 장단기 사업 과제를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주요 과제로는 △첫 민주혁명 정체성 관련 사회정치적 공론화 △경남·전국 민주화운동사 종합적 조사, 연구, 발간 △3·15의거, 혁명기념사업 내실화와 재정 기반 확충 △경남 지역·민주화 현장 기반 ‘한국민주화연구소’ 설립 △경남 민주화 사료관(아카이브) 건립 등을 제안했다.

그는 “1960년 3월 15일 마산을 넘어 진해, 통영, 진주 등에도 시위가 있었던 것으로 기록돼 이를 모두 포함한 경남 3·15의거사를 정리해야 한다”며 “3·15의거 정신계승 단체는 총 6곳으로 4월혁명 관련해선 전국 최대지만 내부 상근자 등은 절대적으로 빈약해 이에 대한 개선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날 또 다른 발제자인 조유묵 진실화해위 3·15의거과장은 ‘3·15의거 진상조사의 진행 과정과 성과·과제’를 주제로 발표하며 “충실히 조사를 진행해 3·15의거 역사적 재조명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김영표 창원시정연구원장이 좌장으로 송성안 경남대 교수, 이우태 3·15의거학생동지회 회장, 주찬우 경남도민일보 사회부장이 토론자로 나서서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이날 정책토론회를 주최한 최형두 국회의원은 영상 환영사를 통해 “1960년 3월 15일 마산에서 1만여명의 시민이 경찰의 초탄에 맞서 민주주의를 외쳤고, 불과 10년 전에는 한국전쟁 당시 마산방어전투 등 대한민국이 기록해야 할 위대한 전쟁사가 있었다”며 “앞으로 마산이 어떻게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최전선에 섰는지 밝혀내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김용락 기자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용락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