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지방신문협회 공동기획] 끝나지 않은 전쟁, 기억해야 할 미래 ④ 호남전투

‘파죽지세’ 北 최정예 부대 맞서 경찰·학도병 ‘지연전투’ 펼쳤다

기사입력 : 2023-02-16 14:50:51

6·25 한국전쟁 당시 ‘호남전투’는 북한군이 진출하기 시작한지 11일 만에 호남지역을 빼앗겼다는 이유로 지난 70여년간 조명받지 못했다. 이런 이유로 일각에서는 호남에 대한 애국심을 왜곡하며 ‘무혈입성’이라는 지적과 함께 ‘치욕의 전투’라고까지 이야기하는 이들도 있었다.

하지만 낙동강 방어선을 지키던 ‘불독’ 월튼 워커 미 8군 사령관은 “북한군 최정예 6사단이 호남에서 수일간의 시간을 보낸 덕에 부산을 방어할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11일간 호남에서는 큰 전투는 없었지만 전사(戰史)에 유례없는 빠른 이동을 하던 북한군 6사단의 진군에 맞서 ‘지연전투’ 벌어졌고, 이 과정에서 호남의 전역에서 수많은 희생이 발생했다. 지역민들을 지키기 위한 호남 전투경찰과 나라를 지키기 위해 혈서를 쓰고 지원한 호남지역 학도병들 바로 그들이다.

2020년 순천에 개관한 이름 모를 수많은 호국 영웅들을 추모하기 위해 순천 호남호국기념관에 세워진 상징물인 ‘호국보훈의 빛’〈호남호국기념관 제공〉
2020년 순천에 개관한 이름 모를 수많은 호국 영웅들을 추모하기 위해 순천 호남호국기념관에 세워진 상징물인 ‘호국보훈의 빛’./호남호국기념관 제공/

◇파죽 지세 북한군 6사단= 방호산 사단장이 이끈 북한군 6사단(이하 6사단)은 개성 북쪽에서 1950년 6월 25일 새벽 5시 10분부터 30분간에 걸친 포병 공격준비 사격을 실시한 후 공격으로 전환했다. 6사단은 북한군 중에서도 막강한 전투력을 가진 정예부대였다. 그들의 뿌리가 중국 내전에 참전한 제166사단이기 때문이다.

다양한 전투경험을 가진 병력들과 최신형 장비를 보유한 6사단의 전투력은 막강했다. 6사단의 선두부대가 호남지역을 공격한 것은 7월 16일부터다. 이들은 호남지역 진입 직전 603모터사이클연대까지 배속받아 파죽지세의 속도까지 겸비하고 있었다.


1950년 호남 전투경찰들이 착용한 전투경찰 복식,/호남호국기념관 제공/
1950년 호남 전투경찰들이 착용한 전투경찰 복식,/호남호국기념관 제공/

◇호남지역의 상황은= 한국전쟁 발발 직전 육군은 보병 8개 사단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호남지역에는 제 5사단이 주둔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부대는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곧바로 수도방위에 나서 호남지역에는 국군 병력이 전무했다. 당시 육군본부는 부족한 호남방어선을 위해 전북지역에 7사단을, 전남지역에 5사단을 새로 꾸리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수도권 방어선이 무너져 내리면서 호남지역은 병력 뿐 아니라 무장이 전혀 갖춰지지 않은 상황이었다.

결국 국군 정규군이 없는 상황에서 충청, 호남 지역 전투경찰과 해병대원 일부, 징집자 등 급조한 군경 합동부대로 ‘7사단’을 꾸렸지만 이름만 사단일 뿐 총기조차 완벽히 갖추지 못했던 것이다. 당시 제7사단장 민기식 대령은 육군본부에 수차례 무기와 탄약 등을 요청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결국 민 대령은 예하 2개 연대의 후방 이동을 건의하고 무장을 갖춘 사단사령부 요원을 포함한 1개 중대 규모만으로 지역 방어에 임했다. 국군 제1사단이 대구 북방 다부동에서 미군과 더불어 북한군 3개 사단을 격멸한 낙동강 전선의 ‘다부동전투’의 국군 주요병력이 호남자원이었고, 호남의 병력자원이 다른 전투에 차출되었다는 점, 그리고 호남출신 군인들이 이끈 승전은 6·25 당시 호남이 패배의 전투만을 하지 않았다는 방증이다.

사진2-1950년 곡성경찰서 대원들의 모습. /전쟁기념관 소장/
사진2-1950년 곡성경찰서 대원들의 모습. /전쟁기념관 소장/
1950년 곡성 태안사전투에서 순직한 경찰관 명단./호남호국기념관/
1950년 곡성 태안사전투에서 순직한 경찰관 명단./호남호국기념관/

◇11일간의 호남 지연전투의 중심은 전투경찰=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기습 남침으로 당시 전남·전북 경찰국은 치안국은 지시에 따라 비상경비사령부를 설치하고 경찰병력을 전투부대로 개편해 국군·미군과 함께 금강저지선을 구축, 방어에 나섰다.

7월 16일 밤 호남경찰은 충남 양촌에서 첫 전투를 시작으로 지연작전에 돌입했다. 그러나 북한군의 병력 증원으로 전세가 불리하자 익산 방면으로 후퇴했다. 호남 전투경찰들은 만경강 일대에 국군과 함께 조촌(만경강)방어선을 구축했지만 7월 19일 김제경찰서 대원들은 막강한 전력을 가진 북한군 6사단과의 청하전투에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7월 23일 광주 산동교에서 경찰과 국군은 북한군 6사단과 전투를 벌였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2007년 5월 발굴한 영광 삼학리 전투(1950년 7월 23일)에서 전사한 무명 경찰관 유물./경찰 박물관 소장/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2007년 5월 발굴한 영광 삼학리 전투(1950년 7월 23일)에서 전사한 무명 경찰관 유물./경찰 박물관 소장/

영광 삼학리에서는 영암, 화순 등 인근 지역에서 차출된 경찰관들이 북한군 제6사단과 지연전투를 벌이다 대부분 전사했다. 북한군은 전차와 중무기를 앞세워 광주와 전남 서부지역을 점령한 후 동부지역으로 진군했다. 호남지역 대부분이 점령된 상황에서도 곡성경찰 한정일 서장은 압록교전투에서 북한군에 승리를 거두었고, 500여명의 전투경찰 대대를 편성해 태안사에서 전투를 이어나갔다.

북한군은 호남을 빠르게 장악하고 진주를 통해 경상도로 진출할 계획이었으나 이러한 지역 전투경찰들의 완강한 저항 때문에 7월 16일 공격을 시작해 7월 31일이 되어서야 진주에 도착할 수 있었다.

저항의 결과는 호남지역 경찰대의 궤멸로 이어졌으나, 간발의 차이로 미군이 방어선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이후 호남 전투경찰은 북한군의 잔당인 빨치산들과 전투를 이어가면서 많은 희생을 감수해야 했다.

호남지역 지연전투 상황작전 상황도./6·25전쟁사 4권-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호남지역 지연전투 상황작전 상황도./6·25전쟁사 4권-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전남 전투경찰이었던 현상호씨(둘째줄 가운데)가 1951년 화순군 동복면에서 빨치산 퇴치 작전에 투입돼 동료들과 찍은 사진.
전남 전투경찰이었던 현상호씨(둘째줄 가운데)가 1951년 화순군 동복면에서 빨치산 퇴치 작전에 투입돼 동료들과 찍은 사진.

◇조국을 지키기 위해 나선 어린 학생들= 1950년 7월 25일 ‘화개장 전투’는 전남 일대를 장악한 후 신속하게 동진하려는 북한군 6사단과 맞서 싸운 전투다. 북한군의 하동 진입을 지연시키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 이 전투는 6·25전쟁에서 전남지역 학도병이 치른 첫 번째 전투였다. 호남지역의 전세가 위험해지자 다급해진 국군 5사단은 청년학생층에 주목해 여수·순천 학도병을 조직했다.

호남 지역 학생들은 나라를 지키기 위해 혈서를 쓰고 여수·순천·광양·벌교·보성·강진 등지에서 모였다. 학도병으로 자원했던 학생의 출신학교와 정확한 숫자를 파악하기 어렵지만, 기록에 따르면 17개 고교에서 180여명의 학도병들이 모였다. 이들은 출정식을 거쳐 중대를 편성한 후 곧바로 훈련에 들어갔다. 실전훈련을 쌓지 않은 학도병에게도 출동명령을 내릴 정도로 호남지역의 전황은 계속 악화됐고 결국 학도병들은 9일간의 훈련을 마친 후 손에 소총 한 자루만 쥐고 전선으로 투입됐다.

학도병은 퇴각한 전투경찰 부대와 화개장의 화개교 건너편인 화개파출소 뒤편 야산에 주둔했다. 전차를 앞세운 막강한 화력의 북한군 1000여명과 치열한 전투를 벌인 이들은 북한군의 동진을 지연시킴으로써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줬다. 여러 문헌을 종합해 보면 철모 대신 교모를 쓰고 전투복 대신 교복을 입고 싸운 70여명의 소년들이 전사하거나 실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6·25전쟁에서 호남지역 호국영웅들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보여준 희생과 공훈을 기리고 나라사랑 정신을 일깨우는 호국·문화공간으로 활용하고자 지난 2020년 순천에 호남호국기념관이 문을 열었다.


현상호 대한민국 6·25참전 경찰국가유공자회 광주시 경찰유공자회장.
현상호 대한민국 6·25참전 경찰국가유공자회 광주시 경찰유공자회장.

[인터뷰] 현상호 대한민국 6·25참전 경찰국가유공자회 광주시 경찰유공자회장

“6·25 경찰참전용사 보훈처서 인정해야”

“내 앞에서 북한군의 총탄에 쓰러져 간 전우들이 아직도 눈에 선합니다.”

현상호(90) 대한민국 6·25참전 경찰국가유공자회 광주시 경찰유공자회장은 70여년 전 호남지역을 지키기 위해 생사를 같이한 전우들을 아직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현 회장의 경찰공무원 인사기록카드에는 ‘1951년 4월 20일 순경 임명’이라고 기록돼 있다. 1934년생인 현 회장은 17살의 어린 나이에 전남경찰국 소속 경찰이 됐다. 1950년 한국전쟁 발발 후 전남지역의 많은 경찰들이 전투경찰로 활약하다 희생돼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현 회장은 해양소년단의 경험으로 경찰에 입문하게 됐다. 수많은 전투에서 목숨을 잃을 수도 있었지만, 현 회장은 어린 나이의 호기에 무서운 게 없었다고 회상했다. 현 회장은 “돌이켜보면 적군의 총탄에 쓰러져 간 사람이 전우가 아니라 나였을 수 있었을 텐데 그땐 아무 것도 몰랐다”면서 “당시에는 보급이 없고 주먹밥 한 개에 의지해 전남과 전북을 두 발로 걸어다니며 북한군과 전쟁을 벌였다”고 말했다.

1951년 경찰이 된 후 정전이 될 때까지 호남의 모든 전투현장에 참가한 현 회장은 1951년 8월 전북 순창군 가마골 전투에 투입돼 밤을 새며 고지를 지키다 얼굴을 스치는 총탄에 부상을 입기도 했다. 그는 6·25 당시 전투 경찰로 고생한 이들이 제대로 된 예우를 받지 못하고 있는 점을 안타까워했다. 현 회장은 “6·25 경찰참전용사들은 보훈처 단체로 인정 받지 못해 제대로 예우 받지 못한 채 이제는 하나둘 세상을 등지고 있다”면서 “민주주의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헌신한 경찰들을 기억하기 위해서라도 6·25 참전 경찰 단체를 보훈처에서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일보= 정병호 기자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