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설] 고립·은둔 청년 지원, 실효성 있는 대책 세워야

기사입력 : 2024-04-15 19:44:48

사회활동뿐만 아니라 외출도 거의 하지 않는 ‘고립·은둔’ 청년이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창원시가 15일 ‘고립·은둔 청년 포용의 길을 찾다’라는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12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고립·은둔 청년은 전체 청년인구의 5%인 54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남도 은둔형 외톨이 실태파악과 정책적 지원 방안 보고서’에도 도내 19~39세 청년 71만명 중 ‘은둔형 외톨이’가 2만8000여명(4%)이고, 은둔·고립의 조짐이 있는 잠재적 은둔형 외톨이가 8만2000여명(11.5%)으로 추정된다고 하니 심각한 수준이다.

‘고립’은 사회활동을 하지 않아 긴급한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하기 힘든 상태, ‘은둔’은 사회활동을 하지 않은 채 거주 공간에 스스로를 가둔 상태다. 고립·은둔의 삶은 개인적 불행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사회적 손실이 막대하다는 것이 문제다. 고립·은둔 청년을 방치하면 가족 해체나 정신건강 문제 등으로 7조원에 달하는 사회적 비용이 초래된다고 한다. 결혼 기피로 인한 저출생, 생산가능인구의 경제활동 참여가 줄어들면서 사회 활력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래도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고립·은둔 청년 80% 이상이 지금의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응답해서다. 도움의 손길이 미치면 그들도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다는 뜻이다.

정부가 지난해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를 발표하자 지자체마다 이들에 대한 지원을 시작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만시지탄이다. 고립 청년은 물리적 고립뿐만 아니라 심리적 고립을 경험하고 있어 현 청년정책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고 한다. 인간관계, 취업 실패 등으로 좌절한 청년들은 ‘낙인효과’를 우려해 공적지원을 기피할 가능성도 있다. 고립·은둔 청년들의 사회 복귀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청년들이 좌절하지 않을 수 있는 사회적 풍토를 조성하고,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손을 내밀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지역의 관련 기관들의 연계·협력도 필요하다. 어제 토론회에서 나온 대책들이 실효성 있게 다듬어지길 기대한다.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