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창원지역 고립·은둔 청년 지원 위해 기관 연계·협력 필요”

시 ‘고립·은둔 청년 정책 토론회’

기사입력 : 2024-04-15 20:33:10

“청년 5만여명 직·간접적 고립 상태
고립청년 발굴·사례관리 체계 개발
일 체험 통한 심리·경제적 지원을”


은둔형 외톨이 등 고립·은둔 청년의 사회 복귀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청년비전센터를 비롯해 대학, 복지관, 자립·가족센터 등 지역의 관련 기관들이 서로 협력해서 예방과 발굴, 개입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15일 오후 창원컨벤션센터 6층 회의실에서 창원시 고립·은둔 청년 지원 정책 토론회가 ‘고립·은둔 청년, 포용의 길을 찾다’를 주제로 열렸다.

15일 오후 창원컨벤션센터 6층 회의실에서 열린 창원시 고립·은둔 청년 지원 정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15일 오후 창원컨벤션센터 6층 회의실에서 열린 창원시 고립·은둔 청년 지원 정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신근화 창원복지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 창원시가 진행한 은둔고립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정책·실천적 지원방안을 제시했다.

지난해 창원 청년 703명을 대상으로 고립 정도를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2.6%가 사회 참여에 배제되고 거의 외출하지 않는 ‘은둔형 고립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사회 참여에 배제돼 있지만 종종 외출은 하는 ‘잠재적 고립군’은 18.2%로 조사됐다.

이를 전체 창원 청년으로 확대하면, 5만여명의 청년이 직·간접적 고립 상태에 있으며 이 중 6500여명은 ‘은둔형 고립’ 상태인 것으로 추정된다.

신 연구위원은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선 기관 간의 연계 협력을 강조했다. 그는 “고립 청년은 물리적 고립뿐만 아니라 심리적 고립을 경험하고 있어 현 청년 정책으로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며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을 활용하면서 그들의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신 위원은 이어 효율적인 지원을 위해서는 △유형별 사례관리 체계 개발 △공통 사례관리 매뉴얼 마련 △고립청년 적극 발굴 강화 △가족 상담·교육·자조모임 강화 △일 체험 기회 통한 심리·경제적 지원 △온·오프라인 방식 활용한 실천적 개입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앞서 진행된 명사특강에서는 김옥란 푸른고래리커버리 센터장이 강연자로 올라와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지원은 스스로 선택하지 못했던 청년들이 주체성을 가질 수 있게 성장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 토론자로 참석한 관계자·전문가들은 공감과 함께 지원을 약속하면서 선진 사례 소개와 조언을 이어갔다.

백희정 광주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 사무국장은 당사자 특성을 고려한 단계별 지원을 강조했다. 백 사무국장은 광주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 운영체계를 소개하며 “‘발굴-상담-프로그램 참여’ 등 단계별 지원체계 속에서 인식개선, 가족구성원 역량 강화 등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미형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연구위원은 고립 청년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주문했다. 조 연구위원은 “제가 바라본 고립 청년과, 창원시 연구위원이 바라본 청년들과 푸른고래리커버리 센터장이 바라본 청년들이 모두 다른 것 같다”며 “정말 다양한 요인으로 은둔을 선택하게 되기에 보다 넓은 관점에서 이들을 바라보고 접근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성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기초단체에서 마련한 제도가 정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줄 것을 당부했다. 김 위원은 “현재 공모를 받고 있는 정부 시범사업은 광역지자체 단위에서 기획되고 있어 기초지자체 단위는 다룰 수 없어 아쉬운 점이 있다”며 “창원에서 은둔·고립 청년을 위한 좋은 지원안을 제도화해서 위로 요구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최정훈 창원시의원과 박정의 창원청년비전센터 센터장은 긴 호흡이 중요하다면서 정책·실무적으로 함께 도울 것을 약속했다.

장금용 창원시 제1부시장은 개회사에서 “전국적으로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지원을 시작하고 확대하고 있다”며 “오늘 토론을 통해 창원시도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전문가들의 조언을 듣고 반영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김용락 기자 rock@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용락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