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설] ‘창원형 교육발전특구’ 완성에 빈틈없어야

기사입력 : 2024-04-16 19:47:28

창원특례시의 최대 과제는 인구 100만 수성이다. 2020년 103만6738명이었던 인구가 3년 만에 100만9038명으로 감소한 데다 청년인구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낮기 때문이다. 창원시는 이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지난 2월 교육부로부터 지정된 ‘교육발전특구’ 추진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한다. 당시 창원시는 직업교육혁신지구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제조 교육발전특구’를 신청해 1차 시범지역으로 지정됐는데, 지역 특성을 반영하고 교육·취업과정을 연계해 ‘창원형 교육발전특구’로 한 단계 더 발전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청년 인재를 양성하고 그들이 지역에 정주하는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방향은 잘 잡았다.

창원시가 마련한 교육특구 추진 방향을 보면 맞춤형 교육을 통해 현장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고, 산업주도형 교육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고 한다. 구인·구직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직업교육’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다 시와 교육청이 협력해 늘봄학교를 확대키로 한 것이 돋보인다. 창원시 6~11세 인구 1만명당 초등돌봄기관 수가 34.2개로 전국 41.2개보다 낮은 현실을 직시한 결과다. 창원에서 나고 자란 인재가 지역에 계속 살도록 ‘늘봄-교육-취업-정주’로 연결시키는 것이야말로 창원형 교육특구의 완성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발전특구는 지방시대 구현을 위한 윤석열 정부의 핵심 정책 중 하나다. 창원시 등 1차 시범지역으로 지정된 지자체는 3년간 시범 운영 후 정식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창원시가 교육발전특구 추진에 올인해야 하는 이유다. 그동안 특구는 중앙정부에서 지역을 지정해 틀을 만든 뒤 혜택을 주는 방식이었지만 교육발전특구는 자율성을 부과했다는 점에서 지역 특성에 맞는 모델을 만들고 성과를 내야 정식으로 지정될 수 있다. 단순히 교육시설 확충을 넘어서 교육의 질적 개선과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교육 혁신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뜻이다. 창원형 교육발전특구 최종 지정으로 청년이 되돌아오는 도시가 되길 바란다.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