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농촌 공동화, 영유아보육에서 해답 찾아야

독자투고 | 임관규 | 2016.11.18 16:14:15
농촌 공동화, 영유아보육에서 해답 찾아야 1970년대 초반부터 이어진 도시집중화로 인해 농촌 공동화가 가속되고 있다. 260만(전체인구의 5.1%)도 채 안 되는 농업인구를 가진 우리나라의 현실을 보면‘적막강산(寂寞江山)’이라는 말이 생각난다. 통계청에 의하면 농어촌지역의 0~5세에 해당하는 영유아수는 2000년 708천명, 2005년 522천명, 2010년 454천명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다. 줄어든 영유아수 만큼 농어촌지역의 보육기관은 2012년에 8477개였으나 2014년 7095개로, 2012년 이후 계속 감소하여, 정원미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녀양육 때문에 중장년층이 농촌을 떠나고 있고, 특히 여성농업인에게는 열악한 영유아의 보육여건은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2012년부터 시행중인‘농촌보육여건개선사업’을 통해 농촌 영유아 보육에 노력하고 있지만 출산과 보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미흡하고, 인구의 수도권 쏠림을 차단하기 위한 처방 또한 마찬가지다. 농어촌 공동화를 막기 위해서는 단순한 경제적 지원만이 아니라 농촌에서 우리 아이들을 맘 편하게 키울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게 급선무다. 아이를 키우면서 어려움 없이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선진국의 육아 및 보육시스템 정착이 필요하다. 또한 농어촌 정착지원 차원에서 조세와 학비감면 등의 혜택을 줘야한다. 전 국토의 90%를 차지하는 농촌이 살기 좋은 곳이 되면 도시 집중과 농촌 공동화 문제는 해결된다. 농촌 주민에 대한 영유아보육 지원 활성화는 농어업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문제와 직결돼 있다.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박재동 부원장 ( 010-3533-2916) jdong@daeg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