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획] 경남신문- 경남경찰청 ‘안전한 경남’ 만들기 (1)보이스피싱 등 금융범죄 예방

알고도 속는 금융사기… 대출·지원금·택배 ‘피싱 주의보’

저금리대출·재난지원금·기관 사칭

기사입력 : 2021-09-13 21:23:17

경남은 전국에서 5번째로 많은 인구와 넓은 관할구역, 그리고 도시·농촌이 혼재돼 있는 환경적 특성이 있다. 이런 탓에 경남경찰관 1인당 담당인구는 465명으로, 경기남부 지역(554명), 경기북부 지역(526명)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치안 수요가 높은 지역이기도 하다.

경남경찰은 테마별·계절별·시기별 치안이 몰리는 분야에 따라 탄력적으로 인력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치안활동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한편 여성, 청소년 등 사회적 약자 대상 범죄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경남신문과 경남경찰청은 도내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의 유형과 그 예방법을 자세히 소개하는 ‘안전한 경남’ 만들기 기획보도를 5편에 걸쳐 싣는다.


자료사진./픽사베이/

추석 명절을 앞두고 ‘저금리로 대환 대출을 해주겠다’고 속여 돈을 가로채는 ‘대출사기형’ 범죄와 택배 배송 확인을 가장한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 코로나19 국민지원금 관련 범죄 등 전화금융사기범죄가 증가할 것으로 우려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대출이 긴급히 필요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범행이 빈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용 등급 상향, 저금리 전환, 대출 수수료 명목의 금전 및 개인정보 요구,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대출광고 등으로 접근하는 방식이다.


올 1~8월 823건 162억원 피해 발생

이체·현금 요구 100% 보이스피싱

출처 불명 대출 앱 설치하면 안돼

추석 택배 확인·재난지원금 사기도


경남경찰청은 전화로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해 저금리 대출을 빙자하거나 기존 대출금 상환을 목적으로 계좌이체를 요구하고 금융기관 직원에게 현금 전달을 요구하는 경우 100% 보이스피싱 범죄라고 강조한다. 검찰, 경찰 등은 어떠한 경우에도 금전의 이체를 요구하거나 금융거래정보를 수집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출처불명의 대출 관련 앱을 설치하게 하는 경우도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피해자가 휴대전화에 이 앱을 설치하면 범인들이 휴대전화를 원격 조종하거나 전화 기능을 가로채 피해자들이 더 쉽게 속을 수밖에 없다.

추석을 앞두고 택배 물량이 많은 것을 노리고 문자를 통해 배송 확인을 가장한 범죄나 코로나19 정부지원 대출·지원금 사기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런 사기의 경우 택배 배송 조회 문자가 발송되고 나서 피해자가 물품 구매여부 확인을 위해 문자 발신번호로 전화를 걸면 물품회사 직원을 사칭해 ‘개인정보가 유출됐으니 자금을 안전계좌로 옮겨야 한다’고 속이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또 최근에는 ‘귀하는 특례보증대출 신청대상인데 현재까지 미신청으로 분류되어 재안내를 드린다’는 식의 재난지원금 수법도 활개 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조상윤 경남경찰청 수사2계장은 “의심스러운 문자 속 출처를 알 수 없는 링크를 클릭할 경우 악성코드가 설치된 뒤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출처가 불분명한 URL 링크는 클릭하면 안 된다”며 “물품 구매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문자를 수신한 전화기가 아닌 다른 전화기로 해당 업체의 실제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하거나 직접 방문해 확인하는 것이 피해를 막는 최선의 방법이다”고 설명했다.

또 보이스피싱이 의심스러울 땐 전화를 끊고 금융감독원 1332나 경찰 112로 신고하거나 가까운 경찰서, 지구대·파출소에 방문해 신속한 조치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 사고 등 가족·지인의 긴급 상황이라며 연락받은 경우에는 전화통화로 해당 가족·지인이 보낸 메시지가 맞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조 계장은 “경찰은 최신화·지능화되고 있는 범죄수법에 대응하기 위해 수사·형사·지역경찰 등 전 기능이 총력 대응하고, 피해예방 홍보 활동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남의 경우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823건, 162억9000만원의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경남경찰청은 727명을 검거해 116명을 구속하는 한편 집중검거 활동으로 46건, 14억1180만원 피해를 예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가 발생한 금액 중 약 6억3000만원을 회수해 피해자들에게 돌려줬다.

도영진 기자 dororo@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도영진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