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상의 “정부·의료계 대화 통해 의료공백 해소해야”
최재호 회장, 도청 기자회견서 촉구
“응급외과 등 필수의료체계 붕괴 시작
지역 간 의료 불균형 없도록 노력을”
경남의사회 “배출된 의사들이
필수의료 선택 않으면 소용없어”
의대 정원 확대를 놓고 정부와 의료계 대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재호 창원상공회의소 회장이 4일 기자회견을 열고 빠른 의료공백 해소를 촉구했다.
이날 창원상의는 정부와 의료계가 대화를 통해 의료공백을 최소화해달라는 취지로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4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최재호(왼쪽 두 번째) 창원상공회의소 회장이 ‘정부와 의료계 대치 관련 지역 경제계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창원상의/
최재호 회장은 “지역은 소아과, 산부인과, 응급외과 등 필수의료체계의 붕괴가 시작되고 있다. 지역 환자가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오픈런, 원정진료 등과 같이 시간과 비용을 이중으로 투자해야 하는 고통이 지속되고 있다”며 “엄중히 말해 지금은 정부와 의료계가 힘을 합쳐 지역 간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는데 노력해야 할 때이지 각자의 논리를 강조하며 분열할 때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의료계의 주장이 지역민의 생명권과 안전보다 우선될 수 없음을 강력히 호소한다”며 “조속한 대화와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의 의료공백의 불안감을 해소해 달라”고 촉구했다.
또 지역 간 의료 격차 문제도 언급했다. 최 회장은 “정부나 의료계의 입장을 대변하려는 것은 아니다”라며 “기본적으로 의대 정원 확대가 지역의료에 도움이 된다고는 생각하지만 늘어난 의대 정원이 지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후속 방안이 나와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경제계 입장 발표에 이어 지역 의료계의 목소리도 나왔다.
김민관 경남의사회 차기회장은 “의사 수를 늘려도 배출된 의사들이 필수의료를 선택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며 “쉽게 설명하면 정부는 막혀 있는 필수 의료 파이프는 뚫지 않고 공급량만 늘리려 하는 셈이다”고 말했다. 이어 “급작스러운 대규모 증원은 수련과정 부실로 이어져 필수의료 담당 의사를 배출하기에는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며 “대학병원에 전공의가 40%를 차지하는 나라는 없다. 또 전공의들은 최저임금에 주 80시간 이상을 병원에서 일하며 청춘을 갈아 넣고 있는 게 현재 의료시스템이다. 이 시스템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부터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규홍 기자 hong@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