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청년창업 정부 지원제도 뭐가 있을까

[기획] 고용절벽시대 ‘청년창업’에 활로를 묻다 (중)

창업계획 수립~사업화 전과정 지원

기사입력 : 2016-04-18 22:00:00
애플의 스티브 잡스, 구글의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

이들은 꿈과 열정, 땀과 배짱으로 20대 초반에 창업해 자신의 미래를 개척한 벤처기업가다. 하지만 이들처럼 창업을 생각한다고 해도 막상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다. 때문에 흔히 창업을 ‘맨땅에 헤딩’이라고 말한다.

‘벤처붐’이 일던 과거와 달리 다행히 요즘에는 정부가 다양한 창업정책으로 지원하고 있다. 자신에게 맞는 지원 사업을 찾아 실패 위험을 최소화한다면 성공적인 창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청년창업 정책 가운데 대표주자로는 청년 전용 창업자금, 청년창업사관학교, 창업보육센터가 있다.
메인이미지

◆창업 자금= 청년창업자들이 가장 우선으로 꼽는 것은 ‘자금’이다. 청년창업자들을 위한 자금지원제도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청년 전용 창업자금’이다. 이는 우수한 아이디어를 보유한 청년들이 창업에 나설 수 있도록 1000억원의 예산을 바탕으로 창업 초기 운영자금과 창업에 필요한 멘토링, 컨설팅을 지원한다. 담보없이 저금리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자금 신청은 전국의 18개 청년창업센터 지역본부에서 접수할 수 있으며 문의는 중소기업청 창업포털사이트인 창업넷(www.startup.go.kr)으로 하면 된다.

기술보증기금의 ‘기술창업기업 보증지원’과 신용보증기금의 ‘퍼스트 펭귄형 창업기업 보증’도 유용한 정책자금이다.

◆청년창업사관학교= 최근 청년창업지원제도는 자금뿐만 아니라 창업공간, 멘토링, 사업화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청년창업사관학교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운영하는 청년창업사관학교는 만 39세 이하의 청년창업자를 선발해 창업계획 수립부터 사업화까지 모든 과정을 일괄 지원한다.

2011년 경기도 안산에 처음 문을 연 청년창업사관학교는 해마다 200명 이상의 청년CEO를 배출하고 있다.

현재 부산경남권과 대구경북권, 호남권, 충남권 등 전국적으로 5개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부산경남청년창업사관학교(☏ 055-548-8020)는 창원 진해구 마천산업단지에 있다. 2월에 입교생을 선발하며, 각 지역별 사관학교에 입소해 창업 준비공간을 제공받는다. 청년창업사관학교는 지난 5년간 기술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해 총 1215명의 청년 창업CEO를 배출해 3800여억원의 매출액을 올렸고, 1700여건의 지적재산권을 등록하는 성과를 거뒀다.

◆창조경제센터=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전국 17개 창조경제센터도 성공적인 청년 창업을 지원하고 있다.

창업자금에서부터 법률, 회계, 기술 등 창업과정을 지원한다. 무엇보다 지역 주도로 선정된 특화 전략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지원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문을 연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https://ccei.creativekorea.or.kr/gyeongnam/main.do)는 메카트로닉스 벤처 중소기업과 해수담수화 국산화 업체, 항노화산업 창업 기업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때문에 해당 분야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센터는 I-Gen 에그데이(Egg Day), 창창포럼, 예비창업자 액셀러레이팅 교육 등을 진행한다.

센터는 청년들의 취업·창업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기 위해 최근 ‘고용존’을 마련했다. 고용존을 중심으로 인제대, 영산대, 창원문성대의 대학창조일자리센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해 대학생 취업률 향상을 위한 지원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창업 인턴제·창업보육센터= 창업·벤처기업에서 인턴십을 경험하면서 창업의 감을 키울 수 있는 창업인턴제도 있다. 이 제도는 2014년 중기청이 ‘청년창업가 발굴 및 양성’의 일환으로 도입했다. 우수한 청년 예비 창업자가 유망 벤처기업에서 1년 이상 인턴으로 근무한 이후 벤처를 창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으로, 선배 창업가의 성공노하우를 전수받고, 기업은 우수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형태의 창업 플랫폼이다.

이 밖에 창업 아이디어는 있지만 자금이 부족하거나 창업 절차를 모르는 대학생들은 각 대학에 마련된 ‘창업보육센터’를 활용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창업보육센터 274곳 가운데 도내 창업보육센터는 17개로 경남대, 경상대, 창원대 등 대학교와 한국전기연구원 등에서 운영하고 있다. 창업보육센터는 이미 갖춰진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고 창업 관련 정보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학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하려면 창업 3년 이내 신생 벤처 또는 신기술을 보유한 예비 창업자여야 한다.

이처럼 청년창업을 돕는 정부의 지원은 많지만 부실창업은 실패할 우려가 높은 만큼 철저하게 준비하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부산경남청년창업사관학교 김은석 전문위원은 “청년창업 활성화에 따른 지원책이 많아졌다”며 “자신에게 맞는 창업지원책을 찾는 게 중요하다. 무엇보다 철저한 준비와 자기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민 기자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정민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