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 위기 대응 정책에 경남 제조업 성패 달렸다”

경남硏 동진우 연구위원 브리프 발표

“기술전환 산업역량 강화 등 정책필요”

기사입력 : 2022-07-05 08:06:43

코로나19가 경남지역 제조업의 장기침체에 또 다른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남도의 위기관리 정책 방향에 따라 지역 제조업의 재도약 혹은 침체 가속화 여부가 결정된다는 제언이 나왔다.

경남연구원 동진우 연구위원은 ‘경제충격은 어떻게 경남 제조업의 위기를 초래했는가’를 주제로 한 브리프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동 연구위원은 “경제충격은 회복과정을 거치는 게 일반적이지만 국가에 비해 상대적 자원배분의 여력이 없는 지역의 경우 경제충격이 경제성장 자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며 “2008년의 금융위기와 2017년 제조업 위기는 국제적 충격 당시보다 이후에 경남 제조업에 더 큰 악영향을 미쳤으며, 그 결과 지역 제조업 성장의 추세하락으로 이어졌다는 공통점을 가진다”고 설명했다.

동 연구위원은 “코로나19는 2008년과 2017년 경제위기의 특성을 모두 드러낸 만큼, 현 시기 뿐 아니라 이후의 회복기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경남 제조업의 재도약 혹은 침체 가속화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며 “특히 이전까지 연속적 경기충격으로 경남 제조업의 기초체력이 저하된 것을 고려해 향후 경남 제조업 관련 정책 수행 시 충격 이후 있을 수 있는 위기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에 대한 경남의 대응책으로 △수출, 내수시장, 기업 간 거래네트워크 변화 등을 모니터링 하며 정책적 지원수요를 수집하고 제조업을 지원해 주는 컨트롤 타워 설치와 △경남지역의 기술전환을 통한 양질의 지식서비스산업 역량 강화를 주장했다.

그는 “국제적 경제위기가 수도권이나 충청권에 비해 경남에 미치는 악영향이 더 큰 이유는 단순한 경기변동적 요소에서 비롯된 것이라기보다 경남이 산업구조변화와 그에 따르는 기술전환(디지털 전환)을 제대로 이루지 못한 것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며 “경남이 기술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면 향후 더 큰 폭의 성장률 정체와 함께 경남 주력 제조업은 수요처 상실의 위험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또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술전환의 방향성을 추적할 수 있는 산업적 역량을 키워야 하며 특히 신성장산업 관련 중견기업 유치, 기존기업의 업종전환지원, 기술창업지원 관련 정책자금 및 투자정책의 마련, 산업-기술연계의 실용화 단지조성과 같은 산업·기업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고운 기자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조고운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