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힘 도의회 의장단 후보 경선 후유증

기사입력 : 2024-06-25 21:32:08

경선 낙선 의원 본투표 후보 등록
부의장 후보, 지지호소 택배 선물
투·개표 과정 ‘인증 샷’ 등 의혹도
내홍 심화에 조직력 타격 불가피


12대 경남도의회 후반기 국민의힘 의장단 경선이 끝났지만 후유증이 확산되고 있다.

선거 과정의 이의 제기가 잇따르고 당내 경선 결과에 불복한 의원이 본투표 후보자로 등록했다가 당일 철회하는 촌극도 벌어졌다. 당내 경선 결과는 비공개가 원칙이지만 한두 표 차로 당락이 정해질 만큼 역대급 치열한 선거였다는 전언이다. 지난 11대 후반기 의장 선거 과정에서 갈등이 촉발돼 의장·부의장 불신임안이 투표로 부쳐지는 등 파행을 겪었는데, 갈등이 재현될 조짐도 보인다.

경상남도의회./경남신문 DB/
경상남도의회./경남신문 DB/

지난 24일 경남도의회 후반기 원 구성을 위한 후보자 등록 접수 마감 결과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의장 후보로 당선된 최학범(김해1·국민의힘) 의원 등 당내 경선을 통과한 후보 10명이 단독 출마했다. 그러나 당내 경선에서 낙선한 의원 2명이 본투표 후보자로 등록했다가 마감 직전 철회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A의원은 “선거 과정에서 불공정한 내용이 있어 등록했는데 해당(害黨) 행위로 해석될 수 있어 철회했다”고 설명했다.

일부 의원들이 문제 삼는 것은 비밀투표 위반, 사전선거운동을 위한 금품수수 의혹이다. 지난 20일 오후 경남도의회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는 18일 열린 후반기 국민의힘 의장단 경선 투·개표 과정에서 벌어진 ‘인증 샷’ 이의 제기에 대한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는 특정 지역 도의원이 ‘표 단속’을 위해 기표한 투표용지를 촬영해 후보에게 전달했다는 이야기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선거가 치열한 양상으로 치달으면서 표가 이탈하지 않도록 기표 사진을 찍어서 ‘인증’한 것인데, 이는 4대 투표 원칙 가운데 하나인 비밀투표에 어긋난다.

이에 대해 도의회 국민의힘 선관위는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우기수 선관위원장은 “해당 의원은 전화가 울려서 끄려고 휴대전화를 만졌다고 한다”면서 “사진을 찍었다 하더라고 도의회 당내 후보 경선은 공직선거법 적용을 받지 않아 문제 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택배’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당내 경선 당선자 가운데 일부가 지지를 호소하며 다른 의원에게 택배 선물을 보냈다는 것이다. 부의장 후보 B의원이 동료 의원 40여명에 돼지고기 선물세트를 택배로 보냈다는 뒷말이 돌고 있다. 또 다른 상임위원장 후보 C의원 역시 동료 의원에 선물을 건넸다고 알려졌다. C의원은 “평소에도 지역 특산품이 있으면 주고받는 관행이 있다”면서 “‘김영란법’ 금액을 넘지 않고 선거운동 기간에 보낸 것도 아니어서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일부 의원은 선거운동 기간 전이라 1하더라도 당선 또는 낙선을 목적으로 금품을 제공하는 것은 사전선거운동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경남도선관위 관계자는 “의장단 후보자를 내기 위한 당내 경선은 공직선거법 적용 대상이 아니다”면서 “뇌물수수죄 적용 여부는 따져 봐야 한다”고 해석했다.

같은 당 소속 의원끼리 내홍이 심화되면서 조직력 타격은 불가피하다. 국민의힘은 지난달 사무총장 명의로 지방의회 후반기 의장단 선출 지침을 각 시·도당에 배포했다. 해당 지침에선 금품수수 등 해당 행위와 불법행위가 발생하면 즉시 중앙당으로 통보하라며 당사자는 윤리위원회 회부 등 당 차원에서 엄정 조치하겠다고 명시했다.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은 25일 논평을 내고 ‘경남도의회 의장단 선거에서 금품을 살포한 후보는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 도당 관계자는 내일(26일) 상황을 보고 추후 경찰청 및 경상남도선관위에 진상 조사를 위한 고발장을 제출하겠다”고 덧붙였다.

엉킨 실타래를 풀기 위해 일부 의원이 조율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경선 과정에서 의혹이 계속 나오면서 후반기 의정활동이 원만하게 이어지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4년 전 11대 도의회에서 후반기 의장단 선거와 상임위원장 배정 문제로 1년 이상 불협화음이 계속된 전례가 반복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최학범 의장 후보가 후반기 의장으로 당선되면 이 같은 갈등을 매듭짓는 중요한 시험대에 오른다. 최 의원은 “선거 이의제기는 있을 수 있지만 별 문제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빠른 시일 내 갈등을 봉합할 수 있도록 동료 의원들과 소통을 늘리겠다”고 말했다.

정민주 기자 joo@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정민주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