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살아있는 화석’ 긴꼬리투구새우 산청서 21년째 발견

차탄리 유기농 탑라이스재배단지서

멸종위기 야생동물 지정됐다 해제

해충유충 먹어 유기농법 일등공신

기사입력 : 2024-06-24 13:40:13

3억년 전 고생대 당시의 모습과 거의 흡사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살아있는 화석’이라 불리는 긴꼬리투구새우가 산청군에서 21년째 발견됐다.

산청군은 산청읍 차탄리 유기농 탑라이스 재배단지에서 긴꼬리투구새우가 발견됐다고 24일 밝혔다.

산청읍 차탄리 유기농 탑라이스 재배단지에서 발견된 긴꼬리투구새우./산청군/
산청읍 차탄리 유기농 탑라이스 재배단지에서 발견된 긴꼬리투구새우./산청군/

지난 2004년 처음 모습을 드러낸 이후 21년 연속 출현이다. 특히 처음 발견된 이후 서식지가 지역 곳곳으로 확대되고 있다.

긴꼬리투구새우는 포식성이 매우 강하고 다리를 이용해 흙을 휘젓고 다니며 먹이를 찾는다.

이런 습성 때문에 흙탕물로 햇빛을 차단해 잡초의 성장을 억제, 잡초를 자연스럽게 제거하며 해충유충을 먹이로 삼아 유기농법의 일등공신으로 손꼽히고 있다.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 등으로 1960년대 이후 자취를 감췄지만 유기농 친환경 농법을 장기간 도입한 오대환 산청탑라이스협회장의 경작지에서 2004년 다시 확인됐다.

긴꼬리투구새우./산청군/
긴꼬리투구새우./산청군/

지난 2005년에는 발효된 야생동·식물보호법에 따라 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했다.

이후 개체수 증가로 멸종위기종 지정이 2012년 해제됐지만 여전히 친환경농업 여부를 인정받는 중요한 잣대로 평가받는다. 친환경 농법을 도입하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서식지가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오대환 회장은 “긴꼬리투구새우가 잡초와 해충 방지는 물론 유기농쌀의 품질 유지에도 기여하고 있다”며 “현재 특허 법률사무소를 통해 상표출원을 진행하고 있다. 긴꼬리투구새우를 산청 유기농 농작물 브랜드로 키워 보겠다”고 말했다.

산청읍 차탄리 유기농 탑라이스 재배단지에서 발견된 긴꼬리투구새우./산청군/
산청읍 차탄리 유기농 탑라이스 재배단지에서 발견된 긴꼬리투구새우./산청군/

김윤식 기자 kimys@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윤식 기자의 다른 기사 검색